메인페이지 상단이미지

해남윤씨 문중문헌 10권 완간 - 시민의 소리

시민의 소리

 

해남윤씨 문중문헌 10권 완간

윤선도 ‘고산선생연보’ 최초 번역

윤이후 ‘지암일기’, 윤두서 ‘공재유고’, 윤이후 ‘수발집’ 표점본도 최초

박용구 기자 | nexus386@hanmail.net

승인 2012.09.19 10:18:04

 

▲ 해남윤씨 문중문헌 10권 완간 사진

전남대학교 호남한문고전연구실(책임교수 김대현, 국어국문학과)은 3년여에 걸쳐 ‘역주 고산선생연보 등’ 등 해남윤씨 문중문헌 10권을 완간(정미문화사)하여 이를 전집으로 집대성했다.

완간된 10권의 문헌 중 ‘역주 고산선생연보’는 고산 윤선도의 탄생에서부터 사후 관련 기록까지 일대기를 망라한 문헌으로 이번에 최초로 번역이 이뤄졌다.

고산 윤선도라는 한 개인의 삶과 학문, 사상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송논쟁을 비롯한 당대의 역사 흐름까지를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더불어 1692년 1월 1일부터 1699년 9월 9일까지 7년 9개월 동안의 사적을 일기로 기록하여 그 당시의 역사적, 사회적 상황을 알 수 있는 윤이후의 ‘지암일기’, 조선시대 대표 화가인 공재 윤두서의 문집 ‘공재유고’, 윤두서의 아들로 영조 임금이 직접 부른 화가 윤덕희의 문집 ‘수발집’은 모두 필사본으로 문중에만 소장되어 있었는데, 이번에 최초로 탈초(선문)되어 문구 하나 하나의 의미와 기능을 정확히 분석하여 부호화하는 표점본으로 출판됐다.

해남윤씨는 윤선도, 윤두서, 윤이후 등 걸출한 조선시대 시인, 화가, 작가를 배출한 호남지역 대표 문중으로 고산의 고택인 해남 녹우당에 선조들과 관련한 중요한 문헌들을 소장하고 있었지만 연구자나 일반인들의 접근이 어려웠다. 이번 완간으로 해남윤씨 문중의 중요한 문헌을 일반인들에게 알리고, 연구자들에게 소중한 연구 자료를 제공하는 좋은 계기를 마련했다.

김대현 책임교수는 “해남윤씨 문중의 중요성을 학계에서도 인식하여 관련 논문만 300여 편이 넘지만 문중에 소장된 관련 문헌이 집대성되지 않아 연구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이번 완간으로 “해남윤씨 문중문헌 연구뿐만 아니라 문학사, 미술사 연구 등에도 큰 도움이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호남한문고전연구실에서는 2009년부터 한국학중앙연구원 국학기초자료사업의 하나로 ‘호남지역 주요 문중문헌 조사 및 연구’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는 호남 한문문집ㆍ지방지ㆍ문중문헌을 발굴하여 집대성하고, 이를 기초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호남한문고전연구실(www.honamculture.or.kr) 또는 062-530-5022로 하면 된다.

언론보도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8 해남윤씨 문중문헌 10권 완간 - 무등일보 한문학연구실 2012-12-10 2,308
37 윤선도·윤두서의 삶과 사상 - 광주일보 한문학연구실 2012-12-10 2,605
36 20세기 호남 한문 문집 집대성 - 호남매일 한문학연구실 2007-07-30 3,896
35 호남 한문문집 간명해제 발간 - 전남매일 한문학연구실 2007-07-30 3,760
34 “호남은 문집의 최대 산출지…문향의 증거” 20세기 호남문집해제’ 발간, 1002종 해제 한문학연구실 2007-07-30 3,985
33 “20세기에도 한문 작품 씌어져” 호남 한문 문집 총정리한 김대현 교수 - 광주드림 한문학연구실 2007-07-30 3,101
32 20세기 호남 한문 문집 집대성 책 발간 - 광주매일 한문학연구실 2007-07-30 2,540
31 \'호남 한문문집 총정리\' 전남대 호남한문학연구소 - 광남일보 한문학연구실 2007-07-30 2,788
30 ‘20세기 호남 한문 문집 간명해제’ 출간 - 광주일보 한문학연구실 2007-07-30 2,728
29 20세기 호남 한문 문집 집대성 책 발간 - 연합뉴스 한문학연구실 2007-07-30 2,668